넷플릭스 영화 ‘계시록’은 단순한 종교 스릴러를 넘어, 신앙과 광기, 그리고 인간 본능의 어두운 면을 조명하는 작품이다. 류준열이 주연을 맡은 이 영화는 종말론적 분위기 속에서 정의와 신념이 어떻게 왜곡될 수 있는지를 강렬하게 그려낸다
https://tv.naver.com/v/72324758
Netflix Korea
[넷플릭스] 계시록 | 파이널 예고편
tv.naver.com
1. 줄거리 – 신앙이 광기로 변하는 순간
영화의 주인공 **성민찬(류준열 분)**은 신실한 목사로 등장한다. 그는 신의 뜻을 전하는 일을 사명으로 여기며, 타락한 사회에서 순수한 믿음을 지키려 애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는 자신의 생각이 곧 신의 뜻이라고 믿기 시작한다. 그러면서 그의 행동은 점점 극단적으로 변해가고, 마침내 신의 이름으로 살인을 저지르는 단계까지 이르게 된다.
한편, 성범죄 전과자인 **권양래(조진웅 분)**는 극 중 주요 반대축을 형성하는 인물이다. 그는 학대와 폭력 속에서 성장한 인물로, 스스로도 또 다른 피해자를 만들어 내며 살아간다. 그의 존재는 단순한 악역이 아닌, 사회가 만든 괴물이라는 점에서 더욱 섬뜩하다.
이 모든 사건을 추적하는 인물은 **형사 이연희(전종서 분)**다. 그녀는 피해자의 가족으로서 진실을 파헤치려 하지만, 법과 시스템은 번번이 그녀를 가로막는다. 결국 그녀는 성민찬과 권양래의 대립 속에서 중요한 결정을 내리게 된다.


2. 핵심 주제 분석 – 신앙과 광기, 그리고 정의
🔹 신앙과 광기의 경계는 어디인가?
성민찬은 처음에는 선한 의도를 가진 목사였지만, 신의 뜻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해석하면서 점점 광기에 빠진다. 그는 살인을 정당화하며, 자신의 행동이 신의 계시에 의한 것이라 믿는다.
이러한 과정은 종교적 맹신이 어떻게 위험한 방향으로 흐를 수 있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 권양래 – 그는 순수한 악인가, 사회가 만든 괴물인가?
권양래는 단순한 범죄자가 아니라, 학대 속에서 길러진 사회의 희생양일 수도 있다는 심리학자의 말은 보는 사람을 못마땅하게 만든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의 죄가 정당화될 수 있을까?
그의 마지막 대사 “그래서 나를 죽이려고?”는 묵직한 의미를 남긴다. 그는 스스로의 운명을 받아들이는 듯하면서도, 성민찬을 조롱하는 듯한 태도를 보인다. 그리고 찬송가까지 부르는 모습에 도대체 종교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생각하게 한다.
🔹 형사 이연희 – 법과 정의 사이에서 갈등하는 인물
이연희는 피해자의 가족이자, 경찰로서의 신념을 지닌 인물이다. 그녀는 법의 테두리 안에서 사건을 해결하려 하지만, 현실은 그녀를 계속 좌절하게 만든다. 마지막 순간에 그녀가 성민찬의 실체를 마주하고 내리는 결정은 영화의 중요한 전환점이 된다.
3. 총평 – 강렬한 심리 스릴러, 그리고 깊은 여운
‘계시록’은 단순한 종교 영화가 아니다. 이 작품은 신념과 광기, 정의와 범죄의 경계를 탐구하면서, 관객들에게 묵직한 질문을 던진다.
- 류준열의 연기는 성민찬이라는 인물이 어떻게 변해가는지를 섬세하게 보여준다
- 연출은 전체적으로 어두운 분위기를 유지하면서도, 긴장감을 놓치지 않는다.
- 무엇보다도, 영화가 끝난 후에도 관객들에게 깊은 고민을 남기는 작품이라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을 만하다.
신념이란 무엇인가? 신의 뜻을 따른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리고 우리는 과연 어디까지 정의를 실현할 수 있는가?
이 질문들이 머릿속을 맴돈다면, ‘계시록’은 충분히 성공한 영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미디어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한국이 싫어서 - 현실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 (0) | 2025.03.26 |
---|---|
전당포 귀신과 쓰레기통의 만남 영화 아저씨 지금 볼만한 영화 (0) | 2025.03.25 |
드라마 리뷰 정숙한 세일즈 3회 줄거리 명대사 후기 (1) | 2024.11.16 |
드라마 리뷰 정숙한 세일즈 2화 줄거리와 명대사 (9) | 2024.11.15 |
jtbc 드라마 정숙한 세일즈 1화 리뷰 (2) | 2024.11.13 |